고스트 (Ghost)를 블로그 플랫폼으로 선정한 이유

에이원네트웍스 팀에서 블로그 운영을 계획하게 된 계기와 Ghost (고스트)를 블로그 플랫폼으로 선정한 이유, 개설 과정을 소개 합니다.

고스트 (Ghost)를 블로그 플랫폼으로 선정한 이유

에이원네트웍스가 테크 블로그를 시작한 계기


에이원네트웍스 팀의 대부분의 구성원은 "엔지니어" 입니다.
수 많은 프로젝트와, 솔루션 그리고 셀 수 없이 많은 시스템을 운영하며 다양한 이슈들과 장애들을 부딪히고, 극복해냅니다. 그러나, 그 과정 중 개인이 맡고 있는 역할이 뚜렷하고, 본업에 바쁘게 몰두하고 있다 보니 개인의 지식이 팀으로 나오기가 어려웠습니다.

" 이거 누가 처리한 적 있지 않았나요? "
" 정리를 해놨었는데.. 어디 있더라..? "

이런 상황이 반복되다 보니, 팀 안팎을 막론하고 "지식을 쉽게 공유하는 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내 위키는 너무 무겁고, 슬랙이나 노션은 담을 수 있는 내용은 많지만 다시 찾아보기가 어려운 구조 였습니다.

" 접근성이 좋고, 가벼워야 하고, 글쓰기에 부담이 되지 않게 쉬워야 하고... "

이 조건들이 블로그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시작이 반..? 끝 같은데.. 플랫폼 선택하기


형태는 블로그. 플랫폼은....?
Naver, Tistory, Velog, Medium, Hugo, WordPress, Jekyll, Astro, Hexo, Ghost ..?
블로그 생태계에 발을 딛여보니 매우 다양한 플랫폼들이 있었고, 특징마저 각기 달랐기 때문에, 쏟아지는 플랫폼 군단에 고개를 떨구게 되었습니다. 🤕

💡 블로그를 선택한 이유..

  1. 쉬운 접근성과 간편한 사용
  2. 개발 요소 최소화
  3.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에디터
  4. SEO 최적화

KB의 형태를 블로그로 선택한 이유를 다시 돌아보고, 기준에 부합하는 플랫폼을 가려내는 과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 최종 플랫폼은 Ghost (고스트)로 선택하였습니다.

Ghost (고스트)란 ?


Ghost CMS는 Node.js 기반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이며, 본질적으로는 빠르고, 심플하며, 컨텐츠 중심적인 플랫폼입니다. "Just a blog"보다는 "블로깅을 위한 최적화된 플랫폼"이라고 느껴, 고스트 블로그를
팀의 테크블로그 플랫폼으로 만들게 된 배경이 되었습니다.

💡 Ghost를 선택한 결정적 이유 3가지

1. 마크다운 기반의 에디터

  • 기술 문서 작성에 익숙한 마크다운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HTML 편집 없이도 코드 블록, 리스트, 링크를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

2. 팀 블로그로 적합한 구조

  • 작성자별로 계정을 분리할 수 있어, 팀원이 각자 글을 쉽게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Draft 기능과 Schedule 기능으로 편하게 작성 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 ghost.org

3. 퍼포먼스와 SEO 최적화

  • 정적 페이지처럼 빠르고, 구조적으로 SEO에 강합니다.
  • 모바일/다크모드 등 UI도 현대적이라 읽는 사람에게도 좋은 경험을 줍니다.

Ghost (고스트) 블로그 개설


위와 같은 이유들로 팀은 Ghost (고스트) 블로그 플랫폼을 선정하여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Ghost (고스트) 또한 여타 다른 플랫폼들과 마찬가지로 유료 플랜이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서버 없이 즉시 호스팅도 가능하며,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현재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목적상 무료 플랜만으로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며, 당연하게도 Self-Hosting은 저희에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

블로그 시작을 고려하고 계신다면 Ghost (고스트) 검토를 추천드립니다!